블로그 홈 728x90 반응형 SMALL 윤사 1등급 달성! 윤리와 사상 지식 정리(연재중!)5 🏛 아리스토텔레스 윤리사상 정리 이번에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 공부해볼게요^^1. 행복(Eudaimonia)이 궁극적 목적인간의 삶에서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εὐδαιμονία, 에우다이모니아)’입니다.eu는 없다, daimon은 악을 뜻하고, ia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악이 없는 상태, 즉 최고 선의 상태를 행복이라고 보았습니다.이 행복은 쾌락이나 재물 같은 외적 조건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 따른 ‘이성적 활동’의 완성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목적론적 세계관-세계의 모든 것은 최고선이라는 목적을 향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형상과 질료-모든 사물은 형상과 질료로 이루어져있다고보았고, 형상은 원형, 본질로 이해가 되고 질료는 재료로 이해하면 됩니다. 목적에 다가갈 수록 형상의 비중은 증가하고 질료는 줄.. 2025. 4. 9. (윤리와 사상)맹자의 사상 정리 그리고 탄핵 지금 서양사상을 연속으로 정리해가던 중이거든요.그런데 2025년 4월 4일 11시에 헌법재판소에서 탄핵판결이 나온다고 나라가 떠들석해서 맹자 사상을 언급 안할 수가 앖네요. 국민저항권이라 할 수 있는 역성혁명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단 맹자 사상부터 정리해볼게요.1. 맹자는 누구인가?저는 한마디로 마초(macho), 상남자라고 얘기하고 싶네요. 당시 춘추전국시대에서 사회적 혼란을 옳음, 정의를 강조하며 의로움을 강조했던 사상가였습니다.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년경)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발전시킨 유학자입니다. 그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며 인간 본성의 선함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민본주의(民本主義)” 사상을 발전시켜, 정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백성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2. 맹자의 주요.. 2025. 4. 1. (윤리와 사상)플라톤 사상 학습 정리 윤사 처음엔 저 홍보 PPL인거 아시죠? ㅎㅎ정말 중요한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으니 수능 1등급 받을 학생들은 찬찬히 업데이트 되는 내용 잘 따라오세요!! 참고로 저는 이번 고등학교 3학년 3월 모의고사 시험을 연습삼아 풀어 윤리와 사상 50점 만점 받았습니다. 믿고 따라오세요!!!1. 플라톤(Plato, BC 427~BC 347) 개요•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 이데아론(이상주의 철학)을 중심으로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철학을 전개• 대표 저서: 『국가(Politeia)』,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필레보스』 등⸻2. 핵심 사상플라톤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가졌어요. 그것이 이데아론인데요. 하나는 이데아의 세계, 다른 하나는 현상의 세계이죠.1) 이데아론(Forms, Idea .. 2025. 3. 31. (윤리와사상)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윤리적 전환, 기원전 5세기에 윤리와 사상 내용을 정리해볼게요.항상 윤사 처음에저 홍보하는거 아시죠? ㅎ정말 중요한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으니 수능 1등급 받을 학생들은 찬찬히 업데이트 되는 내용 잘 따라오세요!! 참고로 저는 이번 고등학교 2025년 3학년 3월모의고사 시험을 연습삼아 풀어 윤리와 사상 50점 만점 받았습니다. 믿고 따라오세요!!!이전 철학이 자연을 탐구했다면, 이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고민이 시작됩니다. 그래서 이전 사상가들을 자연철학자,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고민이 있던 소피스트 부터는 인간철학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소피스트는 sophist라는 영어를 보면 sophia가 지혜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러니 지혜를 지닌 사람(~st)라는 의미인데 일종의 학원 강사, 직업교사인거죠... 2025. 3. 30. (윤리와 사상)자연철학자의 사상 정리 정말 중요한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으니 수능 1등급 받을 학생들은 찬찬히 업데이트 되는 내용 잘 따라오세요!! 참고로 저는 이번 고등학교 3학년 20205년 3월모의고사 시험을 연습삼아 풀어 윤리와 사상 50점 만점 받았습니다. 믿고 따라오세요!!!자연철학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철학 분야로, 자연 세계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특히, 초기 자연철학자들은 우주와 만물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그래서 자연 만물을 만들어낸 근원을 탐구한 사람들이기에 이들을 자연철학자라고 명명하게 되는거지요. 이들은 오늘날의 과학자처럼 실험을 하지는 않았지만, 논리적 사고를 통해 자연의 원리를 설명하려 했습니다.안타깝게도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윤리와 사상’ 과목에서는 이들을 거의 다루지 않아요. 왜냐.. 2025. 3. 2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