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사 1등급 달성! 윤리와 사상 지식 정리(연재중!)

(윤리와 사상)플라톤 사상 학습 정리

by mazimak 2025. 3. 31.
728x90

윤사 처음엔 저 홍보 PPL인거 아시죠? ㅎㅎ
정말 중요한 내용을 위주로 정리했으니 수능 1등급 받을 학생들은 찬찬히 업데이트 되는 내용 잘 따라오세요!! 참고로 저는 이번 고등학교 3학년 3월 모의고사 시험을 연습삼아 풀어 윤리와 사상 50점 만점 받았습니다. 믿고 따라오세요!!!
1. 플라톤(Plato, BC 427~BC 347) 개요
•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
• 이데아론(이상주의 철학)을 중심으로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철학을 전개
• 대표 저서: 『국가(Politeia)』,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필레보스』 등

SMALL


2. 핵심 사상
플라톤은 이분법적 세계관을 가졌어요. 그것이 이데아론인데요. 하나는 이데아의 세계, 다른 하나는 현상의 세계이죠.

1) 이데아론(Forms, Idea Theory)
• 이데아(ἰδέα, Idea): 눈에 보이는 현실 세계(현상계) 너머에 존재하는 완전한 본질적 세계(이데아계)-이성으로 인식되는 정신의 세계
• 현실 세계의 모든 사물과 개념은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방-감각 경험으로 인식되는 물질의 세계
• 예: ‘정의로운 것들’(현상계) → ‘완전한 정의(이데아계)’
• 철학자의 역할: 감각적 경험을 넘어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
****여기서 한가지 더 이데아 중에 최고의 이데아를 플라톤은 선(善)의 이데아(Idea)라고 했어요. 일단 이데아라는 말을 설명하자면, 우리가 흔히 쓰는 그 아이디어 idea 맞습니다. 우리의 정신 생각에 존재하는 원형, 근원을 이데아라고 보았어요. 우리의 정신적 가치는 물질과는 다르게 변화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고 본 것입니다. 그런 이데아는 분화해나가는데 분화하기 전의 최상의 이데아를 선의 이데아라고 했습니다. 수능에서는 '선(善)'을 '좋음'이라고 해석해서 '좋음의 이데아'라고 해석해놓은 책도 보았습니다. 여튼 선의 이데아로부터 분화된 여려 이데아들은 그 이데아들을 모방하는 수많은 현상의 사물들이 존재하는 것이지요. 결국, 현상계에 존재하는 무수한 사물들은 이데아계의 이데아를 모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플라톤의 이분법입니다. 일종의 앙꼬 없는 찐빵 같은 느낌이랄까? 찐빵의 본질은 앙꼬인데, 그 본질은 우리 사물들 안에 존재하지 않고 이데아계에 존재한다는 뭐 그런 느낌인거죠. 다시 말해 사물의 본질, 원형, 근원은 이데아계에 존재한다. 현상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렇듯 플라톤은 이데아계를 진짜라고 생각하고  했어요. 이성을 통해 인식되는 세계를 진짜라고 생각해서 우리가 쓰는 플라토닉 러브~~~ 라는 사랑이 직역하면, 플라톤적 사랑인데 그것이 정신적 사랑을 뜻하는 용어로 해석되는 것이죠!

728x90


2) 인식론 – 동굴의 비유
플라톤은 동굴에 이데아와 현상계를 비유해서 설명해요. 예나 지금이나 배움이나 공부는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아야 하죠! ㅎㅎㅎ 그러니 더 이해하기 쉽게 비유해가며 설명을 했겠죠! 플라톤 샘의 수업에서 동굴의 비유를 어떻게 설명하나 들어봅시다! 어디까지 플라톤이 이분법을 설명하기 위한 비유를 위한 장치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이런 동굴이 어디에도 없겠지요. ㅎ

동굴의 모습

그림을 보며 설명을 보시면 더 이해가 잘 되실거에요
동굴 안 - 현상의 세계 / 동굴 밖 - 이데아의 세계를 의미함 / 벽돌벽 아래에 쪼그려 앉은 사람들 - 일반적인 사람들 / 태양 - 선의 이데아(Idea)
쪼그려 앉아 있는 사람들은 육체가 사슬에 묶여 그림자가 비치는 벽면만을 바라볼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 『국가』에서 동굴의 비유(Allegory of the Cave) 제시
• 감각적 세계(현상계)는 진리의 그림자에 불과
• 철학자는 동굴을 벗어나 참된 진리(이데아)를 깨달아야 한다.
• 진정한 앎(episteme)은 이성적 사유를 통해 이데아를 깨닫는 것

플라톤은 이분법적인 세계를 설명하기 위해 동굴 안에 여러 장치들을 가지고 오죠. 불과 그림자 등  이해를 돕고자 아래 그림을 보세요.

반응형




3) 국가론 – 철인정치(Philosopher-King)
•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 체제 제시
• 사회를 세 계층으로 구분
1. 철학자(지혜, 통치자 계층)
2. 군인(용기, 수호자 계층) ---이전 교과서에서는 '방위자' 또는 '수호자'로 직업이 표시가 되기도 했으니 유의바람!!!
3. 생산자(절제, 노동자 계층)
• 철학자가 통치하는 국가(철인정치, Philosopher-King)가 가장 이상적/ 철학자는 선의 이데아를 인식한 사람

여기서 수험생들 유의할 점!!!!
계급간 역할교환이 안된다는 점이에요. 즉 직엊을 마음대로 바꿀 수 없지요. 다만 군인(수호자) 계급에서 선발된 사람들이 철학자 계급, 즉 통치자가 되지만 한번 뽑히면 그대로 쭈욱 간다는거죠!!!! 명심!!!
한가지 더!
사유재산은 생산자 계급에게만 허용했고
수호자와 통치자는 사유재산 불허와 함께 부인과 자식을 공유했다는거에요.(이게 무슨 발상인지!? 들어보면 이해가 됩니다)
플라톤은 자기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다수의 군중에 의해 죽음에 처해진 상황을 매우 못마땅하게 생각하지요. 그래서 민주주의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올바른 소수의 통치자가 독재하는 형태를 더 바람직하다고 보았지요!
그래서 지배계급이라 할 수 있는 계층의 청렴성을 확보하기 위해 돈과 자식, 부인을 사유화하는 것을 금지시킨 것이죠! 참으로 이상적 발상입니다.

우리나라 국회의원도 돈 안받고 나라를 위해 일하도록 하면 이 정도로 부패할까요? 정말ㅜㅜ


4) 윤리학 – 영혼의 3분설
• 인간의 영혼을 세 부분으로 나눔
1. 이성(logos): 철학자(지혜)
2. 기개(thymos): 군인(용기) 
3. 욕망(epithymia): 생산자(절제)
• 이성이 욕망과 기개를 조절해야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다.

여기서도 플라톤은 당근 이성이 가장 중요한 영혼이라고 조았고요. 이 세 개의 영혼은 통치자, 군인, 생산자 계급이 강조되는 영혼에 대응됩니다.


5) 플라톤의 영향
• 기독교 철학, 중세 철학(아우구스티누스) 등에 큰 영향을 줌
• 아리스토텔레스와의 차이: 플라톤은 이데아 중심(관념론),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 중심(경험론)



3. 플라톤 사상의 의의
• 이상주의 철학의 시초, 소크라테스와 같이 주지주의(지식, 앎을 강조!!!)
• 인식론, 윤리학, 정치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
• 현대 철학, 교육, 정치사상에도 중요한 철학적 기반 제공

➡️ 결론: 플라톤은 “진정한 앎이란 감각을 넘어선 이데아를 깨닫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철학자가 사회를 이끌어야 한다고 보았다.

728x90
반응형
LIST